'CES 2024' 화두는…AI·미래 모빌리티 전면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최대 가전·IT 박람회 CES가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세계 IT 기술 트랜드를 선도해온 인공지능(AI), 스마트 디바이스를 넘어 이미 많은 산업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AI가 들어간 뷰티, 로봇, 모빌리티 기술 등 CES 트렌드가 어땠는지 김주영 기자가 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세계 IT 기술의 향연장인 CES에 글로벌 화장품 기업의 최고경영자(CEO)가 기조연설자로 연단에 섰습니다.<br /><br /> "햇빛이 화창한 라스베이거스에 11시간 비행해 막 도착했네. 시차 적응도 잘 안 돼 얼굴에 드러날 듯한데, 조언 좀 해줄 수 있어?"<br /><br /> "좋아요. 피부상태가 좋은 편이에요. 피부 진단을 해보니, 당신 피부에 신경 쓸 이런 점들이 있어요."<br /><br />AI와 대화하며 맞춤형 피부 관리법을 제안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인 건데, AI가 IT 분야를 넘어 뷰티 등 전 산업군으로 깊숙이 적용되는 점을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가전 분야에서는 한층 고도화된 AI가 접목되면서 스마트홈 비전이 더 뚜렷해졌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AI 기능이 적용된 가전을 대거 선보였는데, 보관 중인 식재료를 분석해 최적의 보관법과 레시피를 추천해주는 냉장고가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LG전자는 집안 센서가 사용자의 심박수와 호흡을 감지해 데이터화하고, 알아서 집안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주는 시스템을 선보였습니다.<br /><br /> "스마트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는 LG전자의 비전을 실체화한 것이 이번 전시의 핵심입니다."<br /><br />모빌리티 분야에서 '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'(SDV)가 트렌드의 전면에 섰습니다. 역시 AI 기술이 접목됐습니다.<br /><br />현대자동차는 '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'로 대전환하고 수소 에너지 모빌리티 생태계도 구축하겠다는 지향점을 명확히 했습니다.<br /><br />기아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업무공간과 휴식공간 등으로 차량 내부 구조를 바꿔 쓸 수 있는 목적기반 차량, PBV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 "기아가 이번 CES 2024에서 발표한 PBV는 헤일링, 딜리버리, 유틸리티, 레저 등 다양한 비즈니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전시장에서는 기존에 산업현장에서 위험한 노동을 돕던 로봇이 생성 AI 기술로 한층 똑똑해지면서 우리 일상에 녹아든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와 LG전자는 나란히 집사로봇을 내놨는데, 집에 혼자 있는 반려동물을 주인 대신 돌봐주거나 가전제품을 스스로 제어하는 등 집안일을 도와줍니다.<br /><br />두산은 표정을 읽어 기분에 어울리는 칵테일을 만들어주는 로봇과 물체를 분석해 알아서 분리수거를 해주는 로봇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CES에서는 농기계와 건설기계 등 중장비 분야에서도 AI 기술을 접목한 장비와 플랫폼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CES에서는 먼 미래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던 AI와 로봇, 그리고 미래차 기술이 어느새 우리 가까이 와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<br /><br />ju0@yna.co.kr<br /><br />#CES #CES2024 #AI #모빌리티 #로봇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