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파 속 난방기구 사용 급증..."전기장판-라텍스 함께 쓰지 마세요" [앵커리포트] / YTN

2024-01-23 32 Dailymotion

모두를 움츠리게 하는 북극 한파에 맞서기 위해 난방기구를 이것저것 작동시키신 분들 많을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잊지 말아야 하는 것, 바로 불조심이죠. <br /> <br />지난 5년 동안 어떤 난방기구에서 화재가 많이 발생했는지 살펴봤더니, <br /> <br />열선과 화목 보일러가 모두 1,400건 이상이었고요, 전기장판, 전기히터 관련 화재도 각각 1,100건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청도 난방기구 사용 안전 수칙을 발표하고 주의를 당부했는데요, <br /> <br />먼저 잠자고 있던 난방기구를 다시 꺼내서 사용할 때, 전선이나 열선이 끊어지지 않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요, <br /> <br />요즘 전기장판 많이 사용하시죠. <br /> <br />전기장판 위로 이불을 너무 겹겹이 덮으면 온도가 설정한 것보다 훨씬 높게 올라서 화재의 위험도 그만큼 더 커집니다. <br /> <br />특히 라텍스와 함께 사용할 때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또 사용하지 않는 난방기구의 플러그는 꼭 뽑고,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끄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잘 마르라고 빨래를 난방 기구 주위에 두는 분들도 계시죠. <br /> <br />절대 금물이고요. <br /> <br />라이터와 같은 인화물질도 주변에 두지 말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문어발 콘센트도 화재를 부를 수 있는데요,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과용량, 즉 여기에 전기가 10개가 흘러갈 수 있는 건데, 거기에 10개, 20개, 30개를 쓴다고 하면 과열이 생기는 거고 거기서 열이 나오는 거고 그래서 화재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스파크도 튈 수 있고요, 그래서 정격 용량만 지켜주신다 하더래도 많은 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또, 주거취약지역에선 불이 붙기 쉬운 소재로 지은 가건물이 많다 보니 해마다 이맘때면 화재에 대한 불안감이 더 클 수밖에 없죠. <br /> <br />실제로 서울 구룡마을에선 지난해 1월 설 연휴를 앞두고 발생한 화재로 주택 60채가 타면서 60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와 중앙정부가 이들 지역의 난방 대책과 안전 등을 함께 관리하는 게 필요해 보이는데요, <br /> <br />또, 각자 집과 일터 등에서 난방기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게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나기의 지름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나경철 (nkc80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12316392902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