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사법재판소가 현지시간 26일 이스라엘 대해 가자지구 전쟁 중단을 명령할지 결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이스라엘이 전쟁 중단 명령을 수용할 가능성은 낮지만, 이 경우 이스라엘은 국제적으로 더욱 고립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상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1일과 12일 네덜란드 헤이그의 국제사법재판소, ICJ 법정에서 공개심리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남아프리카공화국이 이스라엘을 제노사이드, 집단학살 혐의로 제소한 사건입니다. <br /> <br />남아공은 최종 판결에 앞서 팔레스타인 주민의 권리가 극심하고 회복 불가능하게 더는 훼손되지 않도록 해달라면서 전쟁을 멈춰달라는 임시조치도 명령해달라고 청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임시 조치는 가자지구 군사작전의 즉각 중단, 제노사이드 협약에 따른 의무 이행과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강제 이주 명령 철회 등 9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이스라엘 측 변호인단은 공개심리에서 제노사이드 협약상 ICJ가 군사행동을 중단하라고 명령할 권한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법정 밖에선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"이스라엘은 집단학살범"이라는 피켓을 든 시위대와 <br /> <br />이스라엘 국기를 든 시위대가 맞불 집회를 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현장이펙트 : Bring them home, bring them home] <br /> <br />ICJ는 우선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요청한 임시조치부터 결론을 내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시간으로 금요일, 26일 오후 1시입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이 제노사이드 협약을 위반해 집단학살을 저질렀는지에 대한 최종 판결을 내릴 때까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일종의 가처분 명령입니다. <br /> <br />ICJ의 본안 판결과 마찬가지로 임시 조치 역시 강제로 집행할 수단이 없고, 이스라엘이 이를 순순히 따를 가능성도 높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인 2022년 3월 우크라이나에서 시작한 군사작전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ICJ의 임시 조치 결정을 지금까지 무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러시아와 달리 서방진영에 속한 이스라엘이 ICJ의 명령을 거부하면 국제여론전에서 치명상이 불가피하리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이자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상순 (ss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12507083061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