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6·25 전쟁 영웅 맥아더 장군이 74년 만에 훈장을 받게 됐습니다. <br> <br>전쟁통에 만들 여건이 안되서 실물 훈장 없이 증서만 줬고, 결국 그렇게 잊혔다가 뒤늦게 이런 사실을 파악하고 실물을 전달한 겁니다. <br> 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인천상륙작전으로 잘 알려진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. <br> <br>[대한뉴스] <br>"맥아더 사령관의 인천상륙작전이 전개된 것이다. 이 작전에 참가한 함정은 미국을 비롯한 7개국 261척 비행기 1000대…" <br> <br>훈장이 제대로 수여되게 된 계기는 한 수집가의 호기심이었습니다. <br> <br>맥아더 장군에게 최초로 수여된 태극무공훈장을 보고 싶다는 마음에 훈장을 수소문하다가 미국의 맥아더 기념관이 태극무공훈장이 아닌 건국공로훈장만 가지고 있는 사실을 알게 된 겁니다.<br> <br>이 글을 본 다른 시민이 국방부에 제보하면서 이제서야 맥아더 장군과 그의 부인이 함께 안장된 맥아더 기념관에 태극무공훈장 실물이 전달됐습니다. <br><br>알고보니 1950년 훈장 수여 당시 훈장 실물이 제작되기 전이어서 증서와 다른 훈장을 임시로 건넨 뒤 이후 교환해주기로 했지만, 전시 상황인 탓에 미뤄졌고 지금까지 수여되지 못한 겁니다.<br> <br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] <br>"74년 만에 맥아더 장군의 공적을 기리는 메달을 전달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.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하는 영웅을 찾아 기억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습니다" <br><br>맥아더 장군의 아들은 이 훈장이 "선친의 유산에 대한 증표"라며 "대한민국 국민과 맥아더 장군을 영원히 결속 시킬 것"이라고 감사 서한을 보내왔습니다.<br> <br>국방부는 제보한 시민과 블로그를 작성한 시민 모두에게 국방부장관 감사장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 <br>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