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·SK 반도체, AI 특수에 실적 회복세 탄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공지능 AI 시장이 커지면서 AI용 반도체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AI용 반도체는 수익성이 높아, 전체 반도체 실적을 이끄는 데도 큰 역할을 하는데요.<br /><br />바닥을 다지고 회복 국면에 접어든 반도체 경기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에서 분기 흑자를 기록하며,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깜짝 실적을 냈습니다.<br /><br />이달 31일 실적 발표를 앞둔 삼성전자 역시 3조~4조원대의 반도체 부문 적자를 1조원대로 줄였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적극적인 감산으로 공급 조절에 나선 것이 실적 회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인공지능, AI시장 확장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 'HBM' 수요가 급증하며 반도체 경기 회복 속도에 가속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SK하이닉스는 최근 투자 설명회에서 "D램과 HBM 신제품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4배, 5배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HBM은 D램을 여러 개 쌓아 올려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인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로,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다루는 AI에 꼭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또 D램에 비해 가격과 수익성도 높습니다.<br /><br />현재 SK와 삼성이 글로벌 HBM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, 두 회사의 실적 상승세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시장이 점점 커지는 건 분명하거든요. AI 시대에서 그 부분(AI용 반도체)은 굉장히 비중이 있고, 사업적인 성격에서도 확대가 되고 메모리나 비메모리(실적)를 다 견인할 수 있는 호재거든요."<br /><br />지난해 534억 달러 수준이던 세계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7년 1,194억 달러로 우리 돈 160조원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반도체 #AI반도체 #HBM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