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"확전 원치 않지만 강력대응"…이란 "우린 관여 안 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행정부가 첫 미국인 사상자가 발생한 친이란 민병대의 공습과 관련해 강력 보복 방침을 거듭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확전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도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이란도 이번 공격에 관여하지 않았다며 배후설에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이란 모두 확전에 부담을 느끼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미군 사상자가 발생한 친이란 민병대의 드론 공격과 관련해 "지속해서 강력히 보복할 방침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은 현지시간으로 29일 나토 사무총장과 만난 자리에서 "중동 갈등을 이용하고, 확대하려는 데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왔다"며 이같이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어떠한 침략에도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며, 우리 군대를 공격한 사람들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. 우리가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그렇게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"지금 중동은 1973년 4차 중동전쟁 이후 가장 위험한 상황"이라고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 행정부는 다만 이번 충돌이 중동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이란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습니다. 우리는 군사적인 방법으로 이란 정권과 충돌을 추구하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이란 역시 근본적인 책임은 이스라엘과 미국에 있다면서도 "지역 저항단체의 공격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"며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 "이 지역의 저항 단체들은 그들의 결정과 행동에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명령을 받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란은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이스라엘 공격과 예멘 후티 반군의 배후로 의심받지만 이를 강력 부인해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미국이 당장 이란을 직접 공격하기보다는 공격 주체에 대한 보복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11월 대선을 앞둔 미국 내에서 이란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바이든 행정부가 제한적이나마 군사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TV 윤석이 입니다. (seokyee@yna.co.kr)<br /><br />#미국 #이란 #중동 #확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