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허가·착공·분양 모두 줄어…PF 부실 위험도 커져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택 경기를 파악할 수 있는 인허가와 착공 지표 등이 지난해 일제히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미분양도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프로젝트 파이낸싱 PF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주택 인허가는 38만 8천891가구로 전년보다 25.5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주택 인허가가 이렇게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만입니다.<br /><br />아파트 인허가는 34만 2천291호로 20%, 비아파트는 4만 6천600호로 50.5% 줄어 3~4년 후 빌라와 다세대 주택 공급 부족이 우려됩니다.<br /><br />주택 착공은 20만 9천 351가구로 전년보다 45.5% 줄었고, 준공은 31만 6천 415가구로 전년 대비 23.5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경기 선행지표인 인허가, 동행지표인 착공, 후행지표인 준공까지 동시에 꺾인 것입니다.<br /><br />미분양 역시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고, 준공 후에도 주인을 못 찾는 악성미분양도 석 달 연속 1만 가구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 3개월간 준공 후 미분양을 포함한 전국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당분간 이런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, PF 부실 우려도 지금 상황에 대한 가중요인이 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지난 10일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서 준공 30년이 지나면 재건축을 허용하고, 지방 미분양을 해결하기 위해 1가구 1주택 특례를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모두 법 개정이 필요한데 총선을 앞둔 데다 야당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통과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국토부는 시행령 개정으로 가능한 오피스텔 발코니 설치와 소형주택 방 개수 완화는 당장 실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 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#주택공급 #인허가 #미분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