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의 대규모 손실 사태에, 시중은행들이 ELS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하겟다고 잇따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 수장들도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힌 가운데, 피해자들은 상품 판매 은행에 책임을 물어달라고 촉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회 소통관 로비에 갈색 서류봉투 더미가 일렬로 늘어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 H지수 ELS 피해자 모임이 국회의원들에게 보내는 탄원서입니다. <br /> <br />3년 전 이맘때 만 2천선 고점을 찍고 최근 5천선 안팎까지 미끄러진 홍콩 H지수. <br /> <br />만기 도래와 함께 반 토막 이상 손실을 보게 된 가입자들은 은행에 책임을 엄히 물어달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길성주 / 홍콩 ELS 피해자모임 대표 : 금융소비자들에게 ELS 가입을 유도하면서 '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안전한 상품이다, 원금 손실 날 일 없다, 금리는 높고 안전한 상품이다'와 같은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며 피해자들을 기만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일부 시민단체는 나아가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도 따져봐야 한다며,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김득의 / 금융정의연대 대표 : 저희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암행 점검을 매년 하고 있지만, 파생상품에 대한 암행 점검은 딱 한 번 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과연 금융당국의 책임은 없느냐….] <br /> <br />주가연계증권, ELS는 이처럼 주가나 지수 움직임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고위험상품인 만큼 애초 은행이 판매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하루 앞서 국회 정무위에서도 관련 질의가 나왔고, 금융당국 수장들은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주현 / 금융위원장 : 지금 위원님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서 상당 부분 저도 개인적으로 공감합니다. 그래서 이번에 (금융감독원의) 검사 결과를 봐서 필요한 제도개선 사항을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시중 은행들도 자체 조치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지난해 홍콩 ELS 판매를 중단한 데 이어, ELS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잇따라 발표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일본 닛케이지수의 경우 최근 고공 행진하며 제2의 홍콩 ELS 사태를 경계해야 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2019년 파생결합펀드 사태 당시 은행 요구로 글로벌 5대 지수 ELS 판매를 열어두었던 것이, 또 다른 손실 사태를 맞으며 원점 검토로 돌아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수입니다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13022363473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