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에서 낚싯줄에 걸린 새끼 남방큰돌고래 '종달'이에 대한 구조 작업이 이틀째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첫날 작업에서 꼬리 뒤로 이어진 낚싯줄은 끊어냈지만, 몸통을 파고드는 낚싯줄을 제거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고재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끼 남방큰돌고래 '종달'이의 몸에 감긴 낚싯줄을 끊기 위해 작은 배가 접근합니다. <br /> <br />여러 번 시도하지만, 돌고래가 물속에서 빠르게 움직여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오전부터 시작된 제거 작업은 오후까지 이어졌지만, '종달'이 몸에 감긴 낚싯줄 제거는 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'종달'이는 지난해 11월 주둥이 오른쪽에 낚싯바늘이 걸려 있고 몸통과 꼬리에 낚싯줄이 감긴 채 목격됐습니다. <br /> <br />'제주 돌고래 긴급 구조단'은 구조 작업 첫날 꼬리 뒤로 이어진 낚싯줄 2.5m가량을 제거했는데, '종달'이 발견 석 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몸통을 감고 있는 낚싯줄이 더 큰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수영할 때마다 살 속으로 계속 파고들어 고통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단은 돌고래와 구조 인력 모두 다칠 수 있어서 포획 대신 장대를 이용해 낚싯줄 제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약골 / 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: (인간과 돌고래) 서로 안전하게 낚싯줄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전문가들 논의 끝에 장대로 저희가 조심스럽게 다가간 뒤에 낚싯줄을 끊어주는 것 이것이 현재로써는 최선이다.] <br /> <br />'종달'이는 꼬리에 묶인 낚싯줄 제거 이후 운동성이 활발해지는 등 상태가 나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연 /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 부대표 : 지금은 운동성이 훨씬 더 생긴 상황이고요. 이전에는 엄마랑 붙어있는 시간이 덜했다면 지금은 엄마랑 같이 움직이면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 지역 바다 날씨가 나빠, 구조단은 기상 상황이 나아지면 낚싯줄 제거 작업을 재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구조단은 '종달'이 몸통에 감긴 낚싯줄을 제거한 뒤 관찰을 통해 낚싯바늘 제거에 나설지 결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:윤지원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13023063217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