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계좌에 1원씩 120번 연달아 들어왔는데, 이체 내역에 120번의 협박 메시지가 적혀있다면 얼마나 무서울까요. <br> <br>점점 악랄해지는 스토킹 범죄, 김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여성이 혼자 사는 집의 현관 비밀번호를 누르고 침입한 남성. <br><br>배달 기사인 척하며 헤어진 여자친구 집에 들어가려던 남성까지. <br><br>이런 스토킹 범죄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><br>스토킹 가해자가 금융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1원씩 120번에 걸쳐 송금하며 피해자에게 협박 메시지를 보낸 사건도 있었습니다. <br><br>지난해부터 스토킹 피해자 지원에 나선 서울시에 접수됐던 피해 사례입니다. <br><br>헤어진 남성이 계속 찾아와 집 앞에 서성이며 피해자를 위협한 사건도 있었습니다. <br><br>[스토킹 피해자] <br>"집에 있을 때 불을 못 켰어요. 불 켜면 밖에 보이잖아요, 창문이. 신고할 때 가장 드는 생각이 보복 범죄입니다. 혹시 나도 그런 피해자가 되지는 않을까…" <br><br>서울시는 이런 스토킹 범죄 시도 14건을 파악해 경찰 신고 등으로 막아냈습니다. <br><br>피해자가 최대 한 달 동안 머무를 수 있는 긴급주거시설도 마련해뒀습니다. <br><br>[김민환 / 기자] <br>"스토킹 가해자가 찾아왔을 때 이 버튼을 누르면 경찰에 즉시 신고가 되고 스피커로 경찰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합니다." <br> <br>현재 2곳인 긴급주거시설을 3곳으로 늘리고 피해자의 출퇴근길에 동행하는 민간경호 기간도 기존 7일에서 14일까지 늘릴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성훈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