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크라이나 전쟁의 불똥이 이곳 강원도 황태 덕장으로 튀었습니다. <br> <br>러시아 명태를 가공해서 만든 황태라는 이유로, 러시아 수입 규제에 나선 미국이 수출길을 막은 겁니다. <br> <br>강경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나무 덕대에 명태가 빼곡히 걸려 있습니다. <br> <br>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면 노릇노릇한 황태로 변합니다. <br> <br>강원지역의 눈과 혹한 속에서 탄생한 황태는 최고의 품질을 자랑합니다. <br> <br>지난 2018년부터 미국 수출도 시작됐는데, 6년 만에 중단될 위기에 놓였습니다. <br> <br>원재료인 명태 때문입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에선 거의 잡히지 않다보니 러시아에서 수입한 명태를 가공해 미국으로 수출했는데, 미국이 러시아산 수산물과 수산물 가공품에 대해 수입 규제 방침을 밝힌 겁니다. <br><br>지금 막 포장된 황태입니다. <br> <br>미국 수출 규제 시점은 오는 21일 인데요. <br> <br>수출 기간이 3주 정도 걸리는 탓에 사실상 수출 길이 막혀버렸습니다.<br><br>[이강열 / 황태 생산업체 대표] <br>"내수 시장이 꽉 막혔잖아요. 수출에 일부 의존하고 있었거든요. 살아라가 아니라 죽어라, 이런 상황인 것 같아요." <br> <br>인제 황태의 미국 수출 실적은 한해 평균 4억 원, 인제군 전체 수출액의 40%를 차지합니다. <br> <br>수출길이 막히면 지역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합니다. <br> <br>[장정현 / 인제군청 기업지원팀장] <br>"수출 국가를 다변화하고 동남아 시장 개척이나 신시장 개척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 미국 알래스카산이나 노르웨이 등 다른 원물 수입도 고려를." <br> <br>명태 외에 연어와 대구, 게 등 러시아 산 모든 수산물이 규제 대상이어서 국내 수산물 가공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민석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