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동물 학대 사건이 끊이지 않으면서 정확한 사인을 밝혀달라는 부검 요청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동물 법의학 전문인력을 키우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곽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동물학대 이슈가 반복되면서, 정부가 정확한 사인을 규명하기 위해 전문가 양성을 추진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동물보건교육실습센터 설립을 준비해, 사망 원인을 밝히는 동물 법의학 전문가를 키운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12월 서울의 한 도심공원에서 서식하던 길고양이 3마리가 사망했는데, 시민의 경찰 신고로 부검이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사인은 급성 신부전증, 자동차 연료를 얼지 않게 해주는 부동액 성분이 사체에서 검출됐습니다. <br> <br>[윤성모 / 동물권행동 카라 활동가] <br>"독극물 섭취가 의심된다고 병원에서 소견을 내주셨어요. 긴급 치료가 계속 이어졌는데 결국은 사망했어요. 그래서 부검을 보내게 되었고요." <br> <br>지난해 3월 경기 양평의 한 주택에서 1200구가 넘는 개 사체가 발견된 사건 부검에 참여했던 연구관은 부검이 범인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한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이경현 /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관] <br>"최근에 가파르게 의뢰 건수가 증가를 했고요. 형량을 판단하는 기준에 저희가 증거로 많이 채택이 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지난 2021년에도 경북 경주에서는 진돗개가 주인이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는 사실이 부검을 통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동물 부검 의뢰는 2019년 1백여 건에서 지난해 453건으로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.<br> <br>동물보호법이 개정되며 학대가 의심될 때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는 근거 규정이 마련되며 경찰과 지자체 신고에 의한 부검 건수가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현재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동물 부검을 진행하는데, 늘어난 부검 수요에 맞게 전문기관을 만든다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교육기관이 설립되면 동물 법의학전문가는 수의사들이 전문교육을 받는 방식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방성재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