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전 여파에 러시아산 헬기 '운항불능' 수순…지자체도 막막<br />[생생 네트워크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부품 수급에 차질을 빚으면서 국내에 있는 러시아산 산불 진화 헬기의 운영이 순차적으로 중단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자체라도 헬기 운영을 확대하면 사정이 나을 텐데 정부가 관련 국비 지원을 외면하면서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KA-32, 일명 카모프라고 불리는 러시아산 산불 진화 헬기입니다.<br /><br />한 번에 3천L의 물을 담을 수 있고 190분 동안 비행이 가능해 산불 현장에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산림청이 보유한 중형헬기 30대 가운데 절반을 이 카모프 헬기가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카모프 헬기 15대 모두 운항 불능 사태에 놓이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대러 제재로 헬기 부품 수입이 중단됐기 때문인데 벌써 6대는 비행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산림청은 369억 원을 주고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초대형 헬기 등 7대를 빌려 평년보다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언제까지 이런 식으로 버틸 순 없는 노릇이라 산림당국도 막막하기만 합니다.<br /><br /> "전쟁이 중단되고 정상적으로 부품의 공급이나 이런 것들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가동률을 현재는 담보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이럴 때 독자적으로 진화 헬기를 운영하는 지자체에서라도 힘을 보태면 좋은데 그러기도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강원도가 헬기 임차 비용에 대해 국비 지원을 요청했지만, 기획재정부가 산불 진화는 지자체 소관이라며 난색을 보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올해도 강원도와 지자체가 겨우 80억 원을 모아 산불 초기 대응이 가능한 헬기 8대를 빌렸습니다.<br /><br /> "너무 부담스러우니까 70억 이상이 들어갑니다. 지방비가. 그러다 보니까 단 몇퍼센트라도 국비 지원을 받아봤으면 좋겠다."<br /><br />대형 산불이 발생한다는 선거 있는 짝수 해가 돌아왔지만, 헬기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자체와 산림당국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#산불 #헬기 #부품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