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영건설의 워크아웃으로 PF 위기는 일단 넘어가는 것처럼 보였지만, 부동산 PF 대출 연체가 늘며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사업의 수익성이 계속 악화할 경우 주택 공급을 맡을 건설사의 위험이 커질 우려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부동산 PF, 즉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도미노의 시발점이 될 뻔한 태영건설 사태는 워크아웃으로 급한 불은 껐습니다. <br /> <br />PF란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이행하기 위한 자금 조달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착공 전에 땅을 사고 인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사업 미래 가치를 보고 필요한 자금을 주로 2금융권에서 높은 이자에 대출받는 걸 브릿지론이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시공이 진행되면 본 PF 대출을 받아 기존 브릿지론을 갚고 공사비를 충당합니다. <br /> <br />공사가 끝나고 분양자들이 대금을 다 지불하면 본 PF 대출금을 상환하고 이익을 배분하면서 사업도 종료됩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PF 대출 잔액 규모는 130조 원대로 이 중 브릿지론이 30조 원, 본 PF가 100조 원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최근 2년간 PF가 포함된 부동산·건설 업종의 연체액과 연체율이 각각 3배와 2.4배로 뛰었다는 점. <br /> <br />국내 PF는 시행사의 낮은 자본력 때문에 시공사의 신용등급을 고려해 대출을 결정하고, 지급 보증을 시공사에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건설사의 자금 조달 여력이 제한되면 PF가 부실해지고 양호한 사업장까지 위험이 전이될 우려가 큽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원장 : 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, 공사비 급등 지속으로 건설업계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. 따라서 부동산 자금 조달 시장이 경색되고 특히 부동산 PF 시장의 부실 위험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] <br /> <br />결국, PF 부실에 대한 불안이 계속되자 금융당국은 건설사의 회계 처리를 중점 심사하고,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만기 연장 방침에서 벗어나 본 PF로 전환되지 않는 브릿지론과 공사 지연 사업장, 분양률이 낮은 PF는 충당금 적립을 강화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PF 위험 때문에 건설업계가 신규 사업에 손대기 어려워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김희정 <br />그래픽;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0406231539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