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1심 무죄가 선고되면서 이재용 회장은 9년째 채워졌던 경영 족쇄를 일단은 벗게 됐습니다. <br> <br>이 회장, 최후 진술서에서 “글로벌 초일류 기업”으로 삼성을 도약시킬 책임이 있다, 했었는데요. <br> <br>대규모 투자와 신사업 발굴, 7년간 멈춘 대형 M&A도 다시 시동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> <br>신선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1심 무죄 판결로 한숨 돌리게 된 삼성은 '기술 초격차'를 위한 미래 경영에 박차를 가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[이재용 / 삼성전자 회장 (2022년 6월)] <br>"아무리 생각해봐도 첫 번째도 기술, 두 번째도 기술, 세 번째도 기술 같습니다." <br> <br>이재용 회장은 그동안 매주 1~2회 법원에 출석하며 해외 파트너와의 만남 등 글로벌 경영 활동에 차질을 겪어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사법리스크 해소로 글로벌 대형 인수·합병, M&A부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'총수 부재'로 인해 삼성은 중장기 의사 결정을 미룰 수밖에 없었는데 2017년 전장 기업 하만 인수 이후 7년 만에 대형 M&A가 구체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차세대 반도체 기술과 융합할 수 있는 인공지능, 로봇, 전장 분야 기업 인수 합병이 거론됩니다.<br> <br>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부문에서 14조 88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세계 반도체 기업 1위 자리를 인텔에 내줬고,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애플에게 1위 자리를 뺏겼습니다.<br><br>주력사업의 위상을 높이는 것도 숙제입니다. <br> <br>[이재용 / 당시 삼성전자 부회장 (2019년 4월)] <br>"메모리에 이어서 파운드리를 포함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당부하신 대로 확실한 1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검찰 항고 가능성도 남아 있지만 일단 무죄 판결을 받은 이재용 회장의 경영 보폭이 넓어지면서 삼성의 미래 행보에 변화가 예상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선미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