탈북민 10년 조사 보고서 공개…"세습에 불만 여론 커져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통일부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 입국한 탈북민 6,351명을 심층 면접한 결과를 정리한 조사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조사 내용에 따르면 최근에 탈북한 사람일수록 김씨 일가 권력 세습에 대한 불만이 컸고, 북한 당국의 주민 통제도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동안 국내 입국 탈북민에 대한 면접 조사 내용을 '3급 비밀'로 분류해 비공개했던 정부가 이번에 10년간 조사 내용을 보고서로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 "정권에 대한 주민 불만이 누적되면서 주민들의 의식 또한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특히 3대 세습, 백두혈통 세습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부정적 인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었습니다."<br /><br />'백두혈통의 영도체계가 유지돼야 하느냐'는 질문에 '그렇지 않다'고 응답한 비율은 탈북 시기에 따라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경우 42.6%였다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54.9%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의 권력 승계가 정당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도 2015년 이전 47.9%에서 2016년 이후엔 56.3%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정권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는데 비례해 북한 당국의 사회 감시와 주민 통제도 더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의 통제가 강화됐다는 응답은 탈북 시기에 따라 2011년 이전에 50.7%였다면 2012년 이후에는 71.5%로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거주지에서 가택 수색을 당한 경험이 있다는 비율도 최근에 탈북한 사람일수록 많았습니다.<br /><br />통일부는 북한 권력층의 주민 수탈은 더욱 심해지고 김정은 집권 이후 뇌물 공여 경험이 2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부정부패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당국의 거센 단속 속에서도 외국 영상물 시청 등 외부 세계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주택 매매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최근에 탈북한 경우일수록 급증했고, 사적 고용과 사금융을 경험한 비율도 김정은 집권 이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보고서는 통일부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