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음력설도 명절인데요. <br /> <br />다만 음력설과 비슷한 시기에 있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'광명성절'에 비하면 중요도가 낮은 편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음력설을 봉건 잔재로 규정한 북한 김일성 주석은 지난 1967년 양력설만 남기고 민속명절을 모두 없애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1989년 김정일 국방위원장 지시로 음력설을 휴일로 지정했고 이후 2003년부터는 북한에서도 사흘간을 공식 휴일로 지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선 우리처럼 음력설에 세배하는 문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설날에 떡국을 먹고 민속놀이를 즐긴다는 것도 우리와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동의 자유가 제한된 만큼 우리와 같은 민족 대이동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오랫동안 양력설을 쇤 탓에 북한에서 음력설은 여전히 양력설보다는 뒷전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서 최대 명절로 꼽히는 김일성 주석 생일인 4월 15일 '태양절'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인 2월 16일 '광명성절'과 비교하면 중요도도 낮은 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 광명성절 82주년을 앞두고 경축 우표를 발행하는 등 북한 매체들은 음력설보다는 광명성절 분위기를 띄우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달 31일) : 김정일 동지 탄생 82돌에 즈음해서 열리는 이번 축전은 불세출의 대성인이시며 만고 절세의 애국자이신 어버이 장군님의 불멸의 혁명 생애와 업적을 천추만대에 길이 전하며….] <br /> <br />이렇듯 북한의 음력설은 양력설보다 뒷전이고 비슷한 시기에 있는 '광명성절'에 치이는 신세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21007123871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