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튜브, 카톡마저 제쳤지만…자극적 콘텐츠 논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구글의 유튜브가 국민앱 카카오톡을 제치고 국내 사용자 1위 앱에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짧은 영상을 내세워 젊은 층을 끌어들인 영향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가짜뉴스와 혐오 등 자극적인 소재의 콘텐츠가 범람한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됩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튜브가 지난해 12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 4,565만명을 기록해 1위에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지난 2020년 5월 모바일인덱스가 관련 데이터를 집계한 이후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카카오톡은 4,554만 명에 그쳐 2위로 내려앉았습니다.<br /><br />유튜브는 간결한 편집 방식과 짧은 호흡의 쇼츠 영상을 내세워 연령대가 낮은 사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심심할 때 보고, 문제를 풀고 해결하는 영상을 주로 봐요. TV보다 유튜브를 많이 보고 심심할 때 많이 봐요. 재미있어서요."<br /><br />반면 카카오톡은 재작년 발생한 장시간 서비스 장애와 무료 서비스 축소, 경영진 먹튀 등으로 국민적 신뢰를 잃은 상태에다 젊은 층이 빠져나가고 있어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유튜브는 대세를 굳힌 작년 12월 기습적으로 프리미엄 월 구독료를 약 42.6% 인상했습니다.<br /><br />또 가짜뉴스와 명예훼손, 혐오 등 자극적인 소재의 영상이 범람하고 있는 점도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워낙 다양한 연령대가 모여있는 매체다 보니 서로서로 쉽게 생각을 공유하다 보니 사실과 다른 건 좀 엄격하게 다뤄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특히 유튜브 콘텐츠를 국내 법으로 규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.<br /><br />정치권과 재계, 연예계를 가리지 않고 가짜뉴스를 무더기로 퍼뜨리던 한 유튜버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심의에 착수하려 하자 부담을 느껴 자진 삭제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유튜브 #국민앱 #카카오톡 #자극적 #콘텐츠 #가짜뉴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