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주인 대신 갚아주고 못받은 전세금 4조원…회수율 저조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택도시보증공사 HUG는 전세 보증보험을 통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에게 우선 전세금을 돌려줍니다.<br /><br />그 후 임대인에게 돌려받지 못한 전세금이 4조원이 넘어가면서 HUG의 건전성 악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성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준 뒤 회수하지 못한 채권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조 2,503억원.<br /><br />2021년 말 6,638억원이던 잔액이 2022년 말 1조 3,700억원으로 늘더니 2년 만에 6.4배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채권 잔액은 서울·경기·인천에 90%가 넘게 몰려 있는데, 지난해 크게 터진 전세사기 탓이 큽니다.<br /><br />서울이 1조 5,147억원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전세사기가 가장 많이 발생한 강서구의 채권 잔액이 5,237억원으로 전체의 34.6%를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50%가 넘었던 연간 채권 회수율은 지난해 7월 기준으로는 10%대까지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채권 추심과 경매로도 회수하지 못하는 돈은 고스란히 공기업인 HUG가 손실로 떠안게 돼, 재정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"이런 구상채권은 기본적으로 부실채권이기 때문에 회수율은 10% 내외입니다. 나머지 90%는 HUG에서 손해를 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예산의 낭비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는 거죠."<br /><br />위기감을 느낀 HUG가 안정적인 자금 확보를 위해 자본금 규모를 5조에서 10조원으로 늘리고 공사채를 직접 발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보증금 미반환 사고를 막기 위해 지난해 12월 전세보증금을 상습적으로 반환하지 않은 악성 임대인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. (makehmm@yna.co.kr)<br /><br />#HUG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