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성장률 높였지만...수출↑·내수↓ 체감 경기 나빠 / YTN

2024-02-11 22 Dailymotion

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은 지난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체감 경기는 여전히 싸늘합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살아나고 있지만, 내수 부진과 건설경기 침체 등 부문별 온도 차가 뚜렷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·저성장기 한국 경제 돌파구를 모색하는 YTN 기획 시리즈, 마지막 날인 오늘은 성장률 전망치 이면의 국내외 상황부터 살펴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IMF와 OECD는 올해 우리 경제가 2%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.4%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한 겁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올해 성장률을 2.2%, 한국은행은 2.1%를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전망은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며 경기 부진이 완화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수출은 반도체가 1년 전보다 56% 넘게 급증한 데 힘입어 1월에 18%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4개월 연속 증가세입니다. <br /> <br />연말 자동차 생산도 호조를 보여 제조업 생산과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이 이어지는 흐름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내수와 건설경기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1.4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2년 연속 뒷걸음질 친 건데, 화장품 소비는 11.5%, 음식료품은 2.6%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와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소비 여력이 줄어든 가계가 지갑을 닫은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건설경기도 지난해 주택 등 건축에서 큰 폭으로 수주가 줄며 19%나 감소해 내수 회복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상목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 2일) : 민간소비는 완만한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, 건설투자 부진이 빠르게 나타나는 등 부문별 온도차가 커서 아직 체감할 수 있는 회복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해외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KDI는 중동지역 분쟁이 향후 유가 상승과 운송 차질 등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경제의 회복이 더딘 것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OECD는 중국 경제가 높은 부채와 자산시장 위축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유혜미 /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: 경기 하방 압력이 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중동의 홍해 사태 등으로 인해서 세계적인 물류 현황들이 좋지가 않을 수가 있습니다. 그러면 원자재 가격이 오를 수가 있고요.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또 비용 상승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업체 입장에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1200111305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