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칫 잘못하면 산불로 이어질 수 있어서 농촌에서 논두렁·밭두렁 태우기를 하지 말자는 캠페인이 시작된 지 꽤 됐는데요. <br /> <br />아직도 그런 경우가 많아서 정부에서 아예 농업 부산물 파쇄 지원단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점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3월 전라남도 순천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. <br /> <br />축구장 65개 면적의 임야 47ha를 태우고 이틀 만에 꺼졌습니다. <br /> <br />원인은 과수원에서 농가 부산물을 태우다 불이 번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 집계 결과 지난해 590여 건의 산불이 났는데 이 가운데 5분의 1가량은 이렇게 논두렁·밭두렁을 태우거나 쓰레기를 소각하다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형재 / 전북 진안군 농업인 : 어디 보관 장소도 없고, 처치 곤란한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태우고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위험천만한 논두렁·밭두렁 태우기를 없애기 위해 정부에서 영농 부산물 파쇄 지원단까지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행안부, 산림청, 농진청, 농협 등이 함께 '찾아가는 마을 순회 영농 부산물 파쇄 지원단'을 발족하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태우지 말고 잘게 파쇄하자는 농촌 인식 개선의 일환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현장으로 찾아가는 파쇄 지원단은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 11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집중적으로 운영됩니다. <br /> <br />[노금선 / 전북 진안군 농업기술센터 과장 : 저희가 지금 12월부터 지속적 홍보를 통해서 40여 농가가 40여ha 정도 신청이 들어 왔습니다.] <br /> <br />파쇄 지원 서비스는 전국 139개 시·군 농업기술센터나 주민센터, 또는 읍·면사무소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재호 / 농촌진흥청장 : 파쇄기로 영농 부산물을 갈아 퇴비로 활용하게 되면 토양 비옥도가 높아지고, 봄철 산불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 또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는 1석 3조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산림보호법 개정으로 산림 100m 안에서 소각행위 자체가 전면금지된 것도 유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를 어기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, 만약 산불로 번지면 최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ytn 오점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최지환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점곤 (ohjumg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21202241887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