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해엔 노사정 합의 이룰까…근로시간 등 의제 '첨예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설 연휴 직전 노동계와 경영계, 정부의 사회적 대화가 시동을 걸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자들이 대화 테이블에서 대면한 건 2년 8개월 만이었는데요.<br /><br />노사정이 '공감대'를 이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첨예한 의제들을 테이블에 올렸습니다.<br /><br />긴 여정 속에 3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, 윤솔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설 연휴를 앞둔 지난 6일.<br /><br />윤석열 정부 들어서 사실상 처음 열린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최고 의결기구 본위원회에 노사정 대표자급 인사가 마주 앉았습니다.<br /><br />노사정이 2년하고도 8달 만에 마주한 대화 테이블인만큼 일종의 '공감대'가 필요했고, 실제 공동 선언문에 합의하고 서명까지 했습니다.<br /><br />이튿날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노사정이 "공통 분모를 마련했다"며 근로 시간 개편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"장시간 근로하는 나라라는 기본 원칙에 동의한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대화에 시동이 걸렸지만 문제는 의제가 산적해있고 근로 시간 및 계속 고용 등에서 있어 입장이 첨예하게 맞선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유연성을 강조하는 사측과 건강권을 지키려는 노측의 합의점이 어디서 맞닿을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국제기관들은 장기 저성장을 경과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강화 등 구조개혁이 필수적이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 "오늘의 안건 조율 과정에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앞으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면 더 큰 어려움들이 노정돼 있을 겁니다."<br /><br />일단 마련된 위원회는 3개.<br /><br />일과 생활 균형 위원회에선 근로 시간 개편을,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계속고용위원회에선 정년 연장과 임금체계 개편 등을 논의합니다.<br /><br />지속 가능 일자리와 미래 세대를 위한 특별위원회에선 고용불안 해소와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을 다룹니다.<br /><br />의제별 위원회는 최장 2년, 특위는 최장 9달 동안 활동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총선 국면이란 변수 속에 첫발을 뗀 장기간의 여정이 어떻게 끝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경사노위 #노사정 #사회적_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