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나라가 북한의 형제국으로 불리는 공산주의 국가, 쿠바와 전격 수교했습니다. <br> <br>서울올림픽에 불참했을 정도로 북한과 밀착했던 나라와 국교를 맺은 겁니다. <br> <br>북한이 받을 타격, 상당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한국과 쿠바 양국 주 유엔대표부가 미국 뉴욕에서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전격 합의한 것은 우리 시간으로 어제 오후 10시 쯤. <br> <br>북한의 방해 공작을 우려해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한 채 극비리에 수교가 이뤄진 겁니다. <br> <br>이로써 유엔 회원국 중 미수교국은 시리아만 남게 됐습니다. <br> <br>쿠바는 6.25 전쟁 당시 물자를 지원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 우호적이었습니다. <br> <br>[1957년 쿠바 친선사절단 방한 당시] <br>"사절단 일행은 한국과 쿠바 양국 친선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(승만) 대통령 각하를 예방했습니다." <br><br>하지만 1959년 사회주의 혁명 이후 북한과 수교하며 우리와 단절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도 불참했습니다. <br> <br>혁명을 이끈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는 1986년 북한을 방문해 형제국 관계를 맺었습니다. <br> <br>불과 6년 전에도 미겔 디아스카넬 현 쿠바 대통령이 북한을 찾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났습니다. <br> <br>수교 합의는 전격적이었지만 길게는 20여 년 간 공을 들인 외교 결실이란 분석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에만 3차례 고위급과 접촉하며 공을 들였고 이달 들어 급물살을 탔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[윤병세 / 전 외교부 장관(2016년)] <br>"시작이 반이란 말이 있듯이 앞으로 이러한 접촉을 계속하고…"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역사의 흐름 속에서 대세가 누구에게 있는지 분명히 보여준 것"이라며 "북한의 정치적 심리적 타격이 <br>불가피할 것"이라고 전망했습니다.<br> <br>북한 매체는 오늘 외교단 행사 소식을 전하면서 참석한 쿠바를 언급하지 않아 이번 수교에 불쾌감을 드러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