몸속을 돌아다니며 질병을 치료하는 초소형 로봇은 공상과학 영화의 단골 소재인데요,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입자에 엔진과 클러치, 로터 등을 모두 넣어 나노로봇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광선을 맞아 작게 축소된 잠수함이 사람 몸에 들어가 곳곳을 누비기도 하고, <br /> <br />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초소형 잠수함이 혈관과 뼛속을 돌아다니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나노로봇은 SF영화의 단골 소재지만, 실제로 나노로봇을 만드는 건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천진우 / 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 : 그동안 사람들이 많이 관심 있었지만 어려워하는 연구였죠.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 안에 엔진이나 기어, 센싱(감지)할 수 있는 부속(장치)까지 다 넣는 것은 어렵죠.]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로봇이 가득 들어있는 액체입니다. <br /> <br />전자현미경으로 수십만 배 확대했더니 200nm의 동그란 로봇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자기장이 없으면 가만히 멈춰있지만 자기장 안에서는 회전 운동을 합니다. <br /> <br />로봇의 엔진은 금과 인공 DNA로 코팅된 산화철인데, 자기력을 받으면 회전해 동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엔진 역할을 해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엔진을 둘러싼 건 DNA로 코팅된 다공성의 금 껍질인데, 로봇 자체가 회전하도록 하는 로터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DNA 정보와 일치하는 유전자가 감지되면, 엔진은 로터와 맞물려 함께 회전하는데, 마치 엔진 동력을 로터에 전달하는, 클러치와 같이 작동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엔진과 로터를 코팅하는 DNA를 편집하면 나노로봇이 어떤 유전자를 만났을 때 작동하도록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룽게리히 도미닉 / IBS 나노의학 연구단 연구교수 : DNA는 염기서열을 원하는 대로 코딩할 수 있어 (나노로봇이) 오직 특정 조건에서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나노로봇으로 세포의 특정 수용체를 기계적으로 당겨 목표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회전운동이 다양한 운동으로 응용될 수 있고, 여러 나노로봇의 DNA를 코딩해 복잡한 알고리즘도 구현할 수 있다며, 약물 전달체나 질병 치료 로봇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이 나노로봇을 몸속 목표지점에 스스로 찾아가는 자율주행 로봇으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최소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21902191811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