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진국도 고령화에 의대 증원…"집단행동 없어"vs"의료체계 달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의대 증원을 추진 중인 가운데, 해외에서도 고령화에 발맞춰 의사 수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집단행동에 나서지는 않는 분위기라는데요.<br /><br />다만 여기에는 국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료시스템이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선진국들은 고령화 등에 대비해 의대 정원을 늘리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독일의 경우 공립 의과대학 총 정원을 9천여 명에서 1만5천명 수준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영국도 8천600여 명이었던 정원을 2031년 1만 5천명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독일 연방보건부 차관은 지난해 "독일의 의대 정원 또한 충분치 않아 증원할 계획이지만 반대하는 의사는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역시 지난 10년간 의사 인원이 4만 3천명가량 늘었지만, 집단행동 등 의사단체의 반발이 없었다고 보건복지부는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의사를 늘려달라거나, 임금을 올려달라거나 이런 이유로 파업하긴 해도 정부가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 대대적으로 파업을 하는 나라는 제가 사례를 알지 못합니다."<br /><br />다만 다른 OECD 국가에서 의대 증원에 대해 별다른 반발이 없는 것은 국내 의료체계와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의사의 고용과 근로시간 등이 보장된 만큼 오히려 인력이 보강되는 것에 긍정적이란 겁니다.<br /><br /> "일단 대한민국의 의사가 부족하다는 근거가 전혀 없고요. (다른) OECD 국가의 의사들은 공무원이기 때문에 의사가 늘어나는 게 본인들에게 더 유리할 수 있다, 그래서 반대하지 않는다."<br /><br />의사 수를 확대한 일본에서도 현재는 의사 과잉상태에 접어들면서 단계적으로 정원 감축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대한의사협회는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