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수사용 질문 만들고, 압수한 자료를 분석하고, 판례를 분석해 구형량을 정하는 것, 검사가 하는 일들이죠.<br> <br>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인데 이를 도와줄 '인공지능 검사' 내년에 등장합니다. <br> <br>보조검사 수십 명을 투입하는 효과가 있다는데요.<br> <br>박자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드라마나 영화 속 검사는 항상 산더미 같은 서류에 파묻혀 있는 모습으로 그려집니다. <br> <br>실제로 검사 1명이 1년 동안 처리하는 사건 관련 인원은 평균 676명. <br> <br>매일 출근해 하루에 사건 관련자 두 명씩 처리해야 가능한 숫자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앞으로는 탑처럼 쌓인 서류뭉치들이 사라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우선 올 하반기부터 검찰, 경찰, 해경 등의 수사, 기소, 재판 문서들이 모두 디지털 시스템화됩니다. <br> <br>여기다 이르면 내년 말부턴 수사를 도와줄 AI 검사도 투입됩니다. <br><br>AI검사는 진술 대화를 자동으로요약하거나, 수사질문 생성, 형량 제안까지 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SNS 대화나 통화녹음 포렌식 자료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.<br> <br>짧게는 하룻밤, 길게는 몇 달 걸리는 일을 순식간에 뚝딱 해낼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[신유진 / 가톨릭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] <br>"압수물 증거품 같은 데서 사건과 관련 있는 부분을 찾는 게 굉장히 오래 걸리거든요. <br><br>이제 생성형 AI모델이 문맥을 이해하게 되기 때문에 관련된 지점을 좀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죠." <br> <br>검찰은 AI 시스템이 도입되면 보조 검사 수십 명을 투입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자은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이태희<br /><br /><br />박자은 기자 jadool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