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 "5년간 2천 명씩 더 뽑아 10년 뒤 의사 1만 명 증원" <br />의료계 "의사 부족 아냐…필수의료계 기피 원인 해결해야"<br /><br /> <br />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사들은 정부의 증원 계획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의협은 각각 2천 명과 350명 증원을 주장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재 정부는 의사를 해마다 2천 명씩, 10년 뒤에는 1만 명 이상 늘리고 필수의료 분야와 지역 의료 지원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급속한 고령화로 의료 수요는 빠르게 느는데 의사 퇴직으로 의료진은 감소해, 2035년엔 의사가 1만 명 안팎 부족할 거란 분석에 의한 겁니다. <br /> <br />팬데믹 반복 우려 역시, 의료진 확충의 필요성을 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민수 / 보건복지부 제2차관 ; 숙련된 진료를 할 수 있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의사 비중도 점점 줄어 2035년이 지나면 현재의 절반 이하가 됩니다. 2천 명 증원은 고령화로 인한 의료수요 증가와 공급 감소를 고려한 결과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의료계는 의사는 부족하지 않다며, 필수의료분야 의료진이 겪는 불합리한 소송 문제와 열악한 처우를 개선해 기피현상을 해결하면 된다고 봅니다. <br /> <br />소아과 오픈런과 응급실 뺑뺑이, 지역 의료시설 부족 역시, 의료기관 이용 행태에서 비롯된 문제라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[주수호 / 대한의사협회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 : (한국은) 의료기관을 최고로 많이 이용하는 나라고 두 번째, 1인당 병원의 재원일수는 우리나라가 몇 번째냐면 일본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나라예요. 의사가 부족한 나라에서 건강 수준이 최고고 의료기관 이용을 최대로 많이 한다는 것이 과연 이게 맞는 얘기냐.] <br /> <br />의대 교육 가능 인원과 관련해서도, 정부는 지난해 정부 수요 조사와 현재 교육여건을 검토했을 때 문제가 없다고 밝혔지만 <br /> <br />[박민수 : 보건복지부 제2차관 : 시뮬레이션·술기·실습 등 기술 발달과 함께 더 효율적인 교육도 가능하며, 정부는 의학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지원 정책도 병행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의대 학장들은 당시엔 '희망 수치'를 낸 것 같다고 조사 결과를 부인하면서 350명 정도를 늘리는 게 최선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필수의료 패키지 역시 실효성을 두고 갑론을박 중인데, <br /> <br />의대 증원 논의가 수년째 단 한 발도 나가지 못한 채 극단 갈등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22019143357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