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일부가 오는 7월 14일을 '북한이탈주민의 날'로 제정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는 상반기 중 대통령령을 개정해 '북한이탈주민의 날'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고 이날 제1회 기념행사를 개최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대한민국을 제1적대국이자 불변의 주적이라는 점을 헌법에 명기해야 한다고 밝힌 지난달 16일. <br /> <br />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 정권과 북한 주민을 분리해 대응하겠다면서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인 북한이탈주민을 위해 '북한이탈주민의 날'을 제정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(지난달 16일) : 탈북민들이 우리 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. 이런 취지에서 통일부는 '북한이탈주민의 날'을 제정할 것을 추진해주기 바랍니다.] <br /> <br />그로부터 한 달여 만에 통일부가 7월 14일을 '북한이탈주민의 날'로 제정해 국가기념일로 기념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정착 지원 정책의 근간이 되는 '북한이탈주민법'이 처음 시행된 날인데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6년 12월 여야가 합의로 해당 법률을 제정했고 이듬해 7월 14일부터 시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법이 시행될 당시 누적 848명에 불과했던 북한이탈주민 숫자는 어느새 3만 명을 훌쩍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호 / 통일부 장관 : '북한이탈주민의 날'은 북한과 탈북 과정에서 말할 수 없는 역경을 딛고 일어나 건실하게 살아가는 3만4천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에게 매우 상징적 의미를 주게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통일부는 상반기 안에 대통령령인 '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'을 개정해 북한이탈주민의 날을 국가기념일에 포함하고, 오는 7월 14일 제1회 기념행사를 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탈북 과정에서 희생된 북한이탈주민을 기억할 수 있는 기념비와 기념공원도 조성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 당국자는 통일 준비 과정에서 남북 주민 통합이 중요하다며 북한이탈주민의 날은 국민의 통일 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날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를 찾은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김영호 통일부 장관과 외교부 당국자 등을 만나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한미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22119552541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