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공의 파업은 병원의 풍경도 바꿔놨습니다. <br> <br>대형병원 가봐야 소용없으니, 더 작은 2차 병원이 북적이고요. <br> <br>상경치료 때문에 올라온 환자와 보호자들 위한 시설이죠.<br> <br>‘환자방’은 썰렁합니다. <br> <br>가장 고생하는 건 환자들이죠. <br> <br>이기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전공의들이 집단 결근에 들어간 지 사흘째. <br> <br>이른바 빅5 등 대형 병원의 진료 차질이 늘어나면서, 대신 공공의료원이나 2차 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리는 풍선 효과가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[맹장 환자 보호자] <br>"21일 날 새벽 3시에 응급실에 갔는데 다른 병원으로 가보라고 지금 의사가 없으니까 진료 못 해준다 이렇게 해서 이쪽으로 오게 됐어요.복통이 심해가지고 갔던 건데 이제 여기 와서 맹장인 거 알게 됐거든요." <br> <br>119 구급대도 전공의 부족으로 5시간 이상 대기해야 하는 대형 병원 응급실 대신, 아예 병상 500개 이하의 2차 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실어나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오늘부터 환자들이 몰리는 서울의료원 등 시립병원 8곳의 운영 시간을 오후 8시까지 2시간 연장했습니다. <br> <br>응급실도 24시간 가동합니다. <br> <br>반면,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이나 진료 일정이 연기 되면서 병원 인근 이른바 환자방들도 한산해졌습니다. <br><br>[서울아산병원 인근 환자방 운영자] <br>"파업 때문에 그러는데요. 그래가지고 환불해주시면 안 되나요 이렇게 하는데, 당일에 통보를 받았는지 내일 오셔야 되는데 오늘 취소한 그런 건수가 한 3~4건 정도 있었습니다." <br> <br>생계까지 미루고 원정 치료에 나섰던 환자들도 하루 빨리 병원이 정상화되길 바라며 발걸음을 되돌렸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기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이기상 기자 wakeu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