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공의 집단 결근 사태가 사흘째로 접어들었습니다. <br> <br>근무지 이탈한 전공의들이 8천 명을 넘었고요.<br> <br>다음 주엔 사직을 미뤘던 4년차 전공의들도 떠납니다. <br> <br>지금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현장에, 저희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. <br> <br>Q1. 박자은 기자, 전공의들은 여전히 병원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는 거죠? <br><br>[기자]<br>조금 전 오후 7시부터 집회 참가자들은 의대 증원 철회를 요구하는 피켓을 들고 구호도 외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서울시의사회 주최로 열린 이번 집회에는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다수 참석해 있습니다. <br><br>전공의 등 의료계의 반발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데요. <br> <br>오늘 0시 기준 결근한 전공의는 8천24명으로 전체 전공의 1만 3천 명의 64.4%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사직서를 낸 전공의는 9천270여 명으로 74%를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현재까지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 6천38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상태인데요. <br> <br>명령을 받고 복귀 시늉만 하는 전공의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민수 / 보건복지부 2차관] <br>"실제로 일을 안 하고 이러면 명령을 이행 안 한 겁니다. 계속 지속해서 명령을 위반하는 상태가 되는 거니까요. 그게 확인되면 그 다음 단계인 처분 절차로." <br> <br>다음 주부터 레지던트 3, 4년 차까지 병원을 떠날 조짐마저 보이고 있어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Q2. 일각에선 이번 사태가 6개월 이상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는데 정부도 타협의 여지가 없다는 거죠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정부도 의대 증원 없인 대한민국도 없다며 강경한 입장입니다. <br> <br>장기전에 대비해 대응책도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. <br> <br>응급실을 지키고 있는 전문의의 진찰료 수가를 100% 인상해 2배를 지급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또 전공의를 대신해 입원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에겐 추가 보상합니다. <br> <br>경증, 비응급 환자를 1·2차 의료기관으로 전원하면 지원금을 지급해 환자 분산도 유도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정부 관계자는 "이번에는 수개월도 버틸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했다"며 의대 증원 관철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채널A 뉴스 박자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자은 기자 jadool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