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매체서 사라진 '쿠바'…한국과 수교에 불만 표출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는 지난 14일 북한의 '형제 국가'였던 쿠바와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으로서는 충격일 텐데요, 그래서인지 북한 매체에서 '쿠바'라는 단어는 15일에 마지막으로 등장한 이후 완전히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쿠바에 대한 배신감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 당국은 우리나라와 쿠바의 수교가 발표될 때까지 수교 논의에 대해 전혀 몰랐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한국과 쿠바의 수교 사실이 공개된 시각은 한반도 시간대로 14일 밤 10시 이후였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보니 14일 오후에 인쇄돼 다음 날 새벽에 배포된 북한 노동신문에는 쿠바 관련 소식이 실렸습니다.<br /><br />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대통령이 가자지구에서 군사작전을 진행하는 이스라엘을 규탄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그 이후 북한의 모든 매체에서는 '쿠바'라는 단어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매체는 김정일 생일 82주년을 맞아 여러 나라의 재외공관에서 경축 행사가 열리고 많은 외국 인사가 자국의 북한 대사관을 축하 방문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도 쿠바만 제외했습니다.<br /><br />작년 2월 김정일 생일 81주년을 맞아 평양 주재 외교관들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축하 편지를 보낼 때 쿠바 대사를 대표로 내세웠던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입니다.<br /><br /> "꽃바구니와 축하 편지를 13일 해당 부문 일꾼에게 외교단을 대표해서 쿠바공화국 특명전권대사가 전달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이 이처럼 '쿠바 지우기'에 나선 것은 '적대국가'로 규정한 대한민국과 수교를 맺은 쿠바 당국에 대한 불만 때문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 2018년 디아스카넬 대통령을 평양에 초청해 극진히 환대했던 김정은으로서는 배신감이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김정은 동지와 조선 당과 정부, 평양 시민들의 따뜻한 환대와 열광적인 환영에 감동을 금할 수 없다고 하면서…"<br /><br />영원한 '사회주의 전우', '형제 국가'라고 믿었던 쿠바에 뒤통수를 맞은 만큼 북한은 한동안 공식적으로 쿠바를 언급하지 않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한국_쿠바_수교 #김정은 #디아스카넬 #김정일_생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