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장 소득 양극화 여전…대·중소기업 임금 격차 2배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여전히 2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대기업 일자리 부족이 입시 경쟁과 저출산의 원인이 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평균 월 소득은 353만 원.<br /><br />1년 전보다 6% 올라,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소득을 높은 순위부터 줄 세웠을 때 가장 가운데에 위치한 값인 '중위 소득'도 6.9% 상승한 267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임금 양극화는 여전했습니다.<br /><br />중소기업 평균 소득은 286만 원으로 7.2% 올랐지만, 대기업 평균 소득 월 591만원보다 305만원 적어 여전히 2배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.<br /><br /> "대기업은 일반적으로 정년제로 운영되는 기업이 많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보수가 점차 커지게 되고, 반면,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일용직 비중이 높고, 연령대별 보수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…."<br /><br />우리나라는 대기업 비중이 2021년 기준 14%로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최하위입니다.<br /><br />대기업 고소득 일자리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입시 경쟁이 과열되고, 지역 불균형과 저출산 등 사회 문제가 이어진다고 한국개발연구원, KDI는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국내 상위 20% 대학 졸업생이 40대에 이르렀을 때 하위 20%보다 최대 50% 정도 임금을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 "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보다는 이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. 대학 입시에도 영향을 미치고 결국은 평생에 걸친 임금에도 영향을…."<br /><br />질 좋은 대기업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정부가 기업의 규모화를 저해하는 정책적 요인을 찾아 개선해야 한다고 KDI는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이덕훈 (gggl@yna.co.kr)]<br /><br />#임금격차 #대기업 #중소기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