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독립 위해 일제에 맞선 '외교 독립운동' 유산 첫 실물 공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3·1 만세 운동을 전후해 애국지사들이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의 독립을 호소했던 귀중한 실물자료들이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외교활동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들로, 실물 공개는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"일본이 한국을 강제 점령하고 한국인을 노예로 대우하는 것은 불법이며 공의가 아니다"<br /><br />신한회가 채택한 '결의서'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이 결의서는 1918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처음으로 뉴욕에서 열린 국제회의, 제2차 '소약국동맹회의'에서 뉴욕신한회가 총회를 통해 채택한 '독립결의서'입니다.<br /><br />당시 식민지배를 받고 있던 우리나라를 비롯해 인도와 그리스, 아일랜드 등 약소국가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제국주의 확장을 거듭하고 있던 열강들의 다툼엔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, 이역만리 먼 외국에서 동포들의 독립을 향한 외침이 국내로 전해지며 마침내 이듬해인 1919년 3·1 만세운동에 불을 지폈습니다.<br /><br /> "의열투쟁, 항일무장 투쟁, 실력 양성운동, 외교 독립운동이 있었는데 이런 독립 방략들이 종합적으로 종합 세트처럼 나온 게 3.1 운동의 어떤 큰 의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독립기념관이 105주년 3·1절을 맞아 특별자료들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미주 대한인국민회 총회관으로부터 대여된 자료 중 일부로, 한국 독립을 위해 고군분투한 선조들의 외교 활동 사료들입니다.<br /><br />공개된 자료는 제2차 뉴욕 소약국동맹회의와 파리평화회의 자료와 국제사회가 한국의 독립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처음으로 인정한 스위스 루체른 국제사회주의대회 '한국독립결의문' 등 모두 12점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에 공개한 자료들 곳곳엔,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 식민지배의 부당함을 알리고 대한민국의 독립을 국제 안건으로 제출하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이 배어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 실물 공개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 "한국인처럼 이제 정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서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한 민족은 없습니다. 미국에 가서 자기 생활을 하기에 바빴지<br /><br />자기 나라의 그런 어떤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민족은 코리안 커뮤니티가 유일하다…"<br /><br />독립기념관은 한국 독립을 위한 무장투쟁 외 국제사회에서의 선전과 재외동포들의 외교적 노력 등 역사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<br /><br />daegurain@yna.co.kr<br /><br />#외교독립운동 #3·1만세운동 #독립기념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