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주항공이나 AI 같은 핵심 과학기술 수준. <br> <br>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어느 정도나 될까요.<br> <br>정부 공식조사를 보니 중국이 10년 만에 우리를 앞질렀습니다.<br> <br>정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3, 2, 1, 점화." <br> <br>지난해 10월 비행사 3명을 태우고 우주로 날아간 선저우 17호입니다. <br> <br>중국은 지난 2022년 우주정거장 톈궁을 완성한 뒤 유인우주선 발사에 두 차례 더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는 2022년 무인 달 탐사선 다누리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지만 유인우주선 분야는 기초 연구에 그치고 있습니다. <br><br>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1대 분야 핵심 과학기술을 평가한 결과 우리의 기술 수준이 중국에 처음으로 역전당했습니다. <br> <br>2012년 조사 시작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종합 평가에서도 5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직전 조사보다 기술 수준이 향상됐지만 중국의 빠른 추격을 이겨내진 못했습니다.<br> <br>중국은 AI와 양자컴퓨팅 등 핵심전략기술 분야에서 세계 1위인 미국과의 격차도 크게 줄였습니다.<br> <br>반면,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분야에서만 1위였고, 우주항공과 해양, 양자 분야에선 최하위였습니다.<br> <br>달 탐사 등 발전이 더딘 영역이 새로 평가대상이 돼 점수가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[이창진 / 건국대 항공우주학과 교수] <br>"늦게 시작한 것도 있지만 정확히 무엇을 위해 우주 개발을 하는지 전략적 목표나 이런 것이 정해지지 않으니까 우왕좌왕하는 면이 있지 않나." <br> <br>적극적인 연구 개발과 체계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석동은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