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복귀 시한 마감을 앞두고 전공의 몇 명과 막판 대화를 진행했지만,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들의 병원 이탈이 길어지자, 그동안 침묵하던 병원장들도 나서서 복귀를 설득했는데, 사태가 바뀔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공의들의 복귀 시한으로 정한 날, 정부는 급히 대화의 자리를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참가한 전공의도 적은 데다, 상황을 타개할 정도로 의미 있는 대화가 오가지는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박민수/ 복지부 2차관 : 대화는 꼭 논제를 놓고 결론을 맺는 대화가 아니라 서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공감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그런 것이 저는 오늘 대화의, (참석자가) 소수이지만….] <br /> <br />진료 차질이 길어지면서 그동안 침묵하던 병원장들도 공식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대병원장 등은 소속 전공의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"여러분의 진심은 충분히 전달됐다"며 "이제 환자 곁으로 돌아와 달라"고 호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서울병원장도 "전공의들의 빈자리가 크다"며 "돌아와서 마음을 표현해 달라"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같은 설득이 전공의들을 움직일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처벌을 면제해줄 복귀 시한을 걸었지만 아직 대거 복귀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 증원에 대한 정부 입장이 확고한 만큼, 마음을 돌리는 전공의들이 적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류옥 하다/ 대전성모병원 사직 전공의 : (정부는) 대화에 화답하겠다고 하다가 사법절차 진행이 불가피하다고 합니다. 같은 날에도 대화하자고 하다가 '의료 개악'이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말합니다. 저와 제 친구들은 복귀할 생각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국립대 교수를 천 명 더 늘려, 지금의 두 배로 만들겠다는 당근책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, 젊은 의사들에게 국립대 교수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건데, 전공의들은 묵묵부답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의사협회는 대통령실 참모들이 불순한 의도로 대통령의 눈과 귀를 흐리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의 비판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는 가운데, 대화마저 별다른 진척이 없어서 의료 대란 사태를 해결할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강보경 <br /> <br />영상편집: 마영후 <br /> <br />그래픽: 유영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혜은 (henis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22921330788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