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전기버스를 비롯한 전기차 도입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버스는 승용 전기차보다 덩치가 커서 한 번 불이 나면 진압도 훨씬 어려워 승객들 안전이 염려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불을 끄는 방식도, 대응 지침도 마땅치 않아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유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커다란 버스 윗부분이 새까맣게 그을렸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관들은 높이 올라가 쉴새 없이 물을 쏟아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충전 중이던 전기버스에서 발생한 화재 진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무려 8시간이 넘게 타다 꺼졌는데도 아직도 탈 게 남았는지 8일 뒤에 다시 불이 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차돼 있던 전기버스에서 불이 나 7시간 만에 꺼진 사례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증가와 함께 전기버스 도입도 늘면서 재작년 1건이던 전기버스 화재는 지난해 4건, 올해는 1월 한 달 사이에만 최소 2건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전기버스 크기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불을 끄는 데 효과적이라는 '냉각소화' 방식을 쓰려면 수조를 설치해 배터리가 물에 잠기도록 해야 하는데, <br /> <br />전기버스는 차체가 커 수조 사용조차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뾰족한 화재 대응 매뉴얼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도 숙제입니다. <br /> <br />한 전기버스 제조 업체의 화재 대응 지침서를 보면 '물로 진화하는 것은 적합한 방법이다', '배터리 화재 진압은 소방대에서만 해야 한다' 같은 기초적인 내용이 대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소방지침서 역시 고가차로 높은 위치에서 물을 뿌리라는, 원론적인 수준에 그친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[민병덕 /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: 안양의 전기버스 사고가 전기버스 차고지라는 나대지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이건 큰 문제가 안 생겼던 거에요. 그런데 지하에서 발생했다고 생각해 보세요. 지금 공동의 매뉴얼이 없는데 이것은 굉장히 문제다.] <br /> <br />전기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늘어날 거란 전망을 고려하면, <br /> <br />하루빨리 민관이 함께 대응에 나서야 한단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업체는 화재에 강한 배터리 기술 개발을, 소방은 새로운 진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호근 /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: 최근 개발 진행되고 있는 어떤 방제액들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재발화가 발생하지 않는 제품들이 있습니다. 내연기관과는 완전히 다른 메커니즘과 시스템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새로운 접근법을 생각하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유서현 (ryu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30105280933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