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치된 독립운동가 생가…사라지는 영웅들의 공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안창호, 유관순 등 삼일절 하면 떠오르는 상징적인 인물들이 많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어떤 독립운동가의 역사적 공간들은 방치되고 없어지기도 하는데요.<br /><br />점점 기억 속에서 사라지는 영웅들의 공간, 문승욱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언덕을 오르자 저만치에 집 하나가 보입니다.<br /><br />문을 열고 들어가니 마당이 낙엽으로 무성합니다.<br /><br />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었던 장효근 선생의 생가입니다.<br /><br />장효근 선생은 3.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 2만여 장을 인쇄해 배포했다는 이유로 옥고를 치렀습니다.<br /><br />그의 삶이 녹아있는 이곳은 방치되고 훼손된 채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"창문은 이렇게 깨져있고, 내부도 곰팡이가 가득한 상태입니다. 사람이 드나든 흔적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시민들도 안타까움을 내비칩니다.<br /><br /> "이정표나 표시 같은 게 있으면 방문도 할 수 있고…정부 지자체에서도 관리해 주시면 좋겠고요."<br /><br />하지만 개인소유의 땅이고 현충 시설로 지정돼 있지 않아 관리 주체가 따로 없습니다.<br /><br />다른 독립운동가의 생가는 아예 자취를 감췄습니다.<br /><br />"원래 이곳에는 독립운동가 권동진 선생의 생가터를 표시한 비석이 있었는데요. 지금은 사라지고 비석을 허문 흔적만 남아있습니다."<br /><br />이제는 사람들이 잠시 스쳐 가는 평범한 공간으로만 기억될 뿐입니다.<br /><br /> "몰랐어요. 좀 안타깝죠. 기념할 수 있는 건 기념하고 알아야 할 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일상적인 곳에서 자주 접해야 역사를 더 잘 기억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대부분이 방치돼 있습니다. 역사적 현장을 경험했을 때만큼 기억에 오래 남는 방법은 없을 겁니다. 사람들이 잘 찾아서 방문할 수 있는 그런 시설물들에 대한 설치를 앞으로 더 많이 해야 될 거다, 라는 말씀을 좀 드리고 싶습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. (winnerwook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정창훈 함정태]<br /><br />#삼일절 #독립운동가 #생가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