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, 서방 국가 대사관 재가동 움직임…한·쿠바 수교 대응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최근 평양 주재 서방 국가 대사관을 재가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독일과 스웨덴의 외교 관리들이 평양을 찾은 데 이어 영국과 스위스도 실무 방북을 추진하는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북한의 적극적인 대서방 외교는 한국과 쿠바의 수교에 대응하는 차원이란 해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 주재 중국 대사관은 지난달 26일 펑춘타이 공사가 평양을 방문한 독일 외무부 아시아 담당 국장을 면담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대사관은 독일 외무부 관리가 북한 외무성의 초청으로 방북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대사관은 또 사흘 후엔 왕야쥔 대사가 평양에서 주북 스웨덴 대사 내정자를 만났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이처럼 서방 국가 외교 관리를 잇달아 초청하는 모습을 두고 평양 주재 대사관 재가동을 요청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스웨덴에 이어 영국과 스위스도 평양 복귀 의사를 잇달아 밝혔고, 2~3개 나라가 추가로 대사관 재가동 준비를 위한 실무 방북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작년 8월 국경봉쇄를 해제한 이후 그동안은 중국, 러시아, 몽골 등 전통적인 친북 국가에만 외교관의 평양 근무를 허용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최근 서방 국가 대사관 재가동에 드라이브를 건 것은 외교 지평을 적극적으로 넓히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대외사업 부문에서는 나라의 대외관계 영역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사업에서 새로운 진전을 이룩하여야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, 일각에서는 유럽 국가 외교관들의 방북이 지난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미뤄 북한이 우리나라와 쿠바의 수교에 자극받았기 때문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최근 유럽 국가에 문을 여는 모습은 한국-쿠바 수교에 대응하는 측면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