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A 라이브 (12시~13시 20분)<br>■ 방송일 : 2024년 3월 4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이용환 앵커<br>■ 출연 : 김효은 새로운미래 선임대변인, 송영훈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, 장윤미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, 최수영 정치평론가<br><br>[이용환 앵커]<br>이런 상황에서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오늘 월요일이니까 오전에 국회 당사에서 하죠, 요즘에 비대위회의를. 당사에서 비대위회의를 주재했는데 역시 오늘도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겨냥해서 이렇게 이야기를 했는데.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포인트는 두 개입니다. 첫 번째, 나랑 토론합시다. 두 번째, 검사독재는 오히려 이재명 대표가 하고 있습니다. 직접 들어보시죠.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1 대 1 토론을 이야기하잖아요. 방송사 우리 채널A를 비롯해서 이런저런 방송사에서 요청이 왔다. 한동훈 저는 언제든 응할 마음이 있습니다,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. 그러면서 MBC에서조차도 요청이 왔어요,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이렇게 이야기를 했는데.<br><br>최수영 평론가님, 조금 전에 이재명 대표가 최고위 회의를 끝내고 기자들과의 소위 백 브리핑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굉장히 길게 했어요. 기자가 이 질문을 던졌습니다.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이 대표님과 1 대 1 토론을 하고 싶어 하는데 어떻게 하실 생각이십니까? 이재명 대표는 사실상 거절했습니다. 어떻게 이야기했느냐, 이재명 내가 윤석열 대통령과의 면담을 그렇게 수차례 요구했는데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이 거절하지 않았느냐. 그것이 먼저야, 하는 취지로 이야기를 했어요. 사실상 이재명 대표는 한동훈 비대위원장과의 1 대 1 토론을 거절한 것이다, 이렇게 읽힐 수 있는 메시지인데. 어떤 평가를 주시겠습니까?<br><br>[최수영 정치평론가]<br>맞죠. 거절했죠. 단칼에 거절한 것이죠.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을 또 끄집어 드렸습니다. 이 이야기는 무엇이냐면 윤석열 정권 심판론으로 한 번 치러보겠다는 이야기 같은데. 저는 그래요. 이것이 윤석열 대통령이 나를 영수회담을 안 시켜줬기 때문에 나도 한동훈 위원장하고 못하겠다, (그런 취지에요.) 이것은 졸렬한 생각 아닙니까. 총선이 30여 일 남아서 국민들이 양당의 선택에 매우 지금 집중하고 있고 주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그런데 1,2당의 대표가 정말 소선거구제 하에서 1당과 2당이 겨루는 이 엄중한 상황에서 두 당의 대표가 총선 승리의 비전이라든가 공천 방향이라든가 이번 총선에 임하는 각 당의 자세라든가 이런 것을 함께 토론한다면 얼마나 유권자들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 판단에 정말 준거가 되겠습니까. 그런데 그것을 안 하겠다고 하는 거잖아요. 저는 이 이야기죠.<br><br>한동훈 위원장하고 둘이 같이 1 대 1 구도로 투 샷으로 잡혔다. 불리하다는 생각이겠죠. 잘못되면 정말 피의자의 구도가 될 수도 있는 거고. 그다음에 또 하나는 이것이 윤석열 정권 심판이 아니라 한동훈의 국민의힘이 맞느냐, 이재명의 민주당이 맞느냐. 이것을 가지고 심판하는 선거가 될 수도 있어서 아마 이재명 대표는 피할 겁니다. 그렇지만 저는 그렇습니다. 지금 민주당의 여러 가지 상황들이 매우 안 좋게 지금 치닫고 있습니다. 내홍 때문에. 그렇기 때문에 이런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라도 전략적 측면에서 저는 한동훈 위원장과 당당히 맞서는 것도 이런 민주당의 지금 처한 위기들을 돌파하는 국면 전환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. 이재명 대표가 조금 용기 없게 대하는 것이 아닌가, 이런 생각이 듭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지현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