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약 없는 전공의 복귀…강대강 대치에 환자만 '울상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공의들의 의료 현장 이탈이 보름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, 전임의와 인턴도 계약 만료와 계약 거부에 나서면서 기약 없는 의료 공백이 메워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정부와 의사들의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면서 지역에서는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임시방편으로 군병원도 문을 열고 응급실을 개방했는데요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호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국군대전병원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곳은 원래 국군 장병과 군인 가족만 이용할 수 있는 병원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지금은 응급실의 경우 민간인 환자도 이용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전공의들의 병원 이탈이 본격화된 지난달 20일부터 군당국이 전국의 군병원 12곳의 응급실을 민간인 환자에게 개방했습니다.<br /><br />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임시방편인데요.<br /><br />군병원 의료진들은 장병 진료와 민간인 환자 진료를 위해 24시간 자리를 지키며 진료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군병원 의료진도 평소보다 늘어난 환자에 피로도가 쌓이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어제(4일)를 기준으로 전국 군병원에서 민간인 환자 125명이 진료를 받았고, 그 가운데 응급 수술을 받은 사례도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군병원을 개방해야 할 정도로 이번 사태는 점점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모양새인데요.<br /><br />그나마 이렇게 군병원이라도 있는 지역은 의료공백을 메워가고 있지만 군병원마저 없는 지역과 가뜩이나 의사 수가 부족했던 지역의 경우 의료 공백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존 전공의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턴들도 채용을 거부하고 나서면서 더욱 상황이 안 좋아지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수련의로 불리는 의과대학을 갓 졸업한 인턴들은 통상 3월부터 병원에서 근무를 하게 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사태로 대부분의 수련의들이 임용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대전 지역을 기준으로 충남대병원 60명, 건양대병원 30명, 을지대병원 27명, 대전성모병원 25명 등 신규 임용될 예정이던 인턴 전원이 임용식을 미루거나 오리엔테이션을 받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인턴뿐만 아니라 신규 전임의들의 임용 포기 사례도 잇따르고 있어, 전공의와 전임의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보건복지부에서 현장으로 복귀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대부분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전 지역 주요 대학·종합병원 5곳에서 사직서를 제출한 전공의 414명 가운데 1명밖에 돌아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지역 병원들은 수술을 줄이고, 응급실 진료를 줄이는 등 의료 공백이 계속해서 현실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와 의료계의 강대강 대치가 계속되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이 떠안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군대전병원에서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. (jinlee@yna.co.kr)<br /><br />[현장연결 : 임재균]<br /><br />#국군대전병원 #군병원 #강대강대치 #의료공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