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대 수업도 파행되고 있지요.<br><br>의대 교수와 학장들까지 증원에 반대하며 줄줄이 사퇴하고 나섰습니다.<br><br>김민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4일 개강 예정이었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. <br> <br>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길어지며 개강일을 2주 미뤘습니다. <br> <br>[가톨릭대 관계자] <br>"저희는 지금 3월 18일 날 개강. (개강일이 미뤄진 걸까요?) 네. 연장, 2주 연장돼있던…" <br><br>이곳을 포함해 중앙대, 이화여대 의대도 개강을 늦췄고 가천대는 두 차례 개강을 미룬 상태입니다. <br><br>이미 개강한 인하대와 경희대에선 수업 거부가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서울권 의대 휴학생] <br>"학생들이 (수업에) 나가지 않습니다. 각오를 확실하게 하게 되고 있는 것 같고 다들." <br><br>교육부는 어제 기준 전국 8개 의대에서 개강은 했지만 학생들이 수업에 나오지 않는 방식의 수업 거부가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교수들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강원대 의대 교수들의 삭발 투쟁에 이어 원광대, 경상대, 가톨릭대 교수와 학장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사직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의대생과 교수들의 이탈에 따른 학사 일정 파행이 장기화 될 경우 집단 유급 사태가 우려됩니다. <br> <br>교육부는 "수업 거부를 강제로 막을 수는 없다"는 입장이지만 유급 사태를 막기 위해 각 대학에 수업 복귀를 계속 설득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