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꽃이 피는 봄 나들이 시즌을 맞아 지역 축제도 하나둘 열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을 찾아보니 도를 넘은 바가지 요금이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강태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산이 노란색으로 물들었습니다. <br> <br>산수유꽃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며 여유를 만끽합니다. <br> <br>[김태양 한경희 / 전남 여수시] <br>"꽃 많이 펴있고 계속 추웠는데 봄이 왔구나 느끼게 되고." <br> <br>남도를 대표하는 봄꽃축제인 산수유꽃 축제입니다. <br> <br>올해 40만 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축제하면 빠질 수 없는 것, 바로 먹거리입니다. <br> <br>국수에 도토리묵까지 다양한 먹거리가 방문객들을 붙잡습니다. <br> <br>식당 외부엔 큼지막한 가격표가 붙었습니다. <br> <br>정부와 지자체가 바가지요금 잡기에 나서면서 달라진 모습입니다. <br><br>축제장 출입구와 판매부스에 가격표를 붙이고, 바가지요금 신고 센터를 운영하는 방안 등이 대책으로 나왔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도로 하나만 건너도 상황이 달라집니다. <br> <br>통돼지 바비큐에 닭꼬치를 파는 임시식당들이 설치됐는데 정작 가격표는 안 보입니다. <br> <br>가격표를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해물파전 2만 원에 순대 1만 5천 원, 만만한 게 없습니다. <br> <br>음식을 시켜봤습니다. <br> <br>4만 원짜리 돼지 바비큐는 고기를 들춰보니 아래 양배추가 깔려 있습니다. <br> <br>파전에 든 파는 설익어서 먹기도 힘듭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너무 안 익은 거 같아요." <br> <br>너무 비싸다는 방문객들과 물가 때문이라는 상인들 입장이 엇갈립니다. <br> <br>[방문객] <br>"먹을 생각을 아예 안 해요. (어묵 2개 먹었어요.) 1500원짜리." <br><br>[상인] <br>"바가지라는 것이 내가 만족하면 아니고, 내가 만족을 못 하면 바가지가 되는 거지." <br> <br>지자체는 손을 댈 수 없다는 입장, 해당 식당들이 축제장 밖에 있다는 이유에섭니다. <br> <br>바가지요금과의 전쟁이 선포됐지만 사각지대는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