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남미에서는 해마다 여러 국가의 한인사회 대표가 만나 경제 정보를 나누고 상생 발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아르헨티나에 모여서 중남미 한인사회 간 현안과 경제 교류 등을 논의했다는데요. <br /> <br />어떤 모습인지 함께 가 보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거대한 공장 내부를 진지한 얼굴로 둘러보는 사람들, <br /> <br />원사로 니트 원단을 만드는 이곳은 아르헨티나 한인이 운영하는 섬유 공장입니다. <br /> <br />40년 넘게 한 분야에 집중한 것이 연간 3천만 달러, 약 400억을 달성한 비결이라는 말에 질문이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"원사는 그럼 중국에서 들여와요?" "아뇨, 아뇨." <br /> <br />가전제품 100여 종을 만드는 공장에서는 사진 찍기에 바쁩니다. <br /> <br />아르헨티나 한인들은 주로 의류업에 종사하는데 드물게 가전제품으로 성공을 거둔 이야기에 관심이 쏟아집니다. <br /> <br />이 업체는 20년 전 미국의 한 가전제품 제조사가 사업을 포기하고 떠난 공장을 과감하게 매입한 게 성공의 발판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남미 11개 나라 한인사회 대표들이 아르헨티나 한인 사업가의 성공비결을 듣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라 / 전 파라과이 한인회장 : 아르헨티나에서 (동포들이) 어떤 사업을 하는지를 저희도 많이 배웠지만, 이것을 제가 다시 파라과이에 가게 된다 하면 다른 동포들한테 공유하면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….] <br /> <br />중남미 33개 나라 가운데 한인회가 있는 곳은 18개국, 전체 한인은 10만 명 정도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한인 사회 규모가 커지면서 해마다 중남미 지역 한인들은 동포 간 상생과 한인 경제인의 네트워킹 확장을 위해 국제대회를 개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온라인과 병행됐던 행사는 올해 대면행사로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참가자들은 코로나19 이후 많은 동포가 경제적 불안을 겪고 있는 만큼 한인사회에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요진 / 브라질 한인회 고문 : 팬데믹 이후로 대체로 경제적인 불안감 그리고 정치적인 불안감으로 인해 많은 동포가 한국으로도 가셨고, 현지에 있는 젊은이들을 여러 단체가 같이 힘을 모아 새로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각국 동포 사회에서 한민족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세대교체가 화두인 만큼 함께 방안을 모색하자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최상민 / 도미니카 한인회장 : (코로나19 이후) 다른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덕주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31011254793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