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래 산업계의 판도를 바꿀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해 정부와 기업들이 힘을 합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보급형 배터리부터 소재와 재활용까지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도 전폭 지원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배터리 산업의 최대 화두는 누가 먼저 차세대 기술 개발에 성공하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등 여러 전방 산업계의 선택을 받으려면 충전 시간과 용량, 안전성 등에서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배터리 업계와 힘을 모아 차세대 기술 개발을 위한 대대적 투자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덕근 /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: 올해부터 5년간 1,172억 원 규모로 전고체 배터리, 리튬황 배터리, 리튬메탈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과제를 본격 추진합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전고체 배터리는 화재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춰 다양한 산업의 판도를 바꿀 이른바 '게임 체인저'라고 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 SDI가 오는 2027년, LG에너지솔루션은 오는 2030년부터 대량 생산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번 정부 지원으로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앞장서서 투자에 나서는 건 내수 시장을 등에 업은 중국 업체들의 약진이 심상치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중국을 제외한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국내 업체가 1위 자리를 빼앗기는 등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 철 /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글로벌 업체들도 일단 LFP를 많이 쓰게 됐으니까 중국이 만드는 것보다는 싸게는 못 만들더라도 보다 더 좋은 기능으로 할 수 있는 그런 LFP 쪽으로 고민을 좀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차세대 배터리뿐 아니라 보급형 시장에서도 핵심 소재를 국산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여 경쟁력을 키운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또 앞으로 민관이 주기적으로 머리를 맞대고 배터리 산업 주도권을 지키기 위한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 오훤슬기 <br />그래픽: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1123452626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