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도심 한복판에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관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불교계와 시민단체 반발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, 시민들 목소리는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태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송현동에 있는 광장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97년 미국에 반환받았고 기업 손을 거쳐 2년 전 서울시가 넘겨받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넓이만 3만7천여㎡, 서울 광장의 3배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열린 송현광장은 경복궁 동쪽과 바로 맞닿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근처에 국립현대미술관이 있고 인사동과도 가까워서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한복판에 자리 잡은 이곳에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시장 (지난달 23일) :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제일 높게 논의되는 데가 송현동 공원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요. 이승만 전 초대 대통령님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등이 상영이 되고 하는 것이 이제 그런 의미에서 보면 일종의 공론화(되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.)] <br /> <br />열린 송현광장에는 이건희 미술관만 짓고 나머지는 녹지 공간으로 남기겠다던 애초 공언을 오 시장 스스로 뒤집은 겁니다. <br /> <br />불교계는 기념관 건립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만 전 대통령이 종교 방송 설립과 군종 장교 제도 도입에 특정 종교에만 특혜를 줬고, <br /> <br />1954년에는 '정화 유시'로 불교계에 갈등을 일으켰다며 서울시와 관계를 단절하겠다고까지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진보 진영의 시민단체 역시 1인 시위에 나서며 반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만 전 대통령이 반민특위를 해산하면서 친일파를 재등용한 점을 지적하며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인 4·19 혁명을 촉발한 인물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념관 건립을 놓고 시민들 반응도 엇갈립니다. <br /> <br />[홍성기 /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: 물론 과가 있죠. 근데 과보다도 과가 3이면 공은 7입니다. 당연히 기념관을 세워야 하지 않겠습니까.] <br /> <br />[김유빈 /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 : 아직 피해자들이 버젓이 살아 있는 2024년에 제대로 된 보상도 아직 못 받은 거로 알고 있는데 시민들의 공간에서 그런 사람을 기념한다는 게 당연히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해요.] <br /> <br />서울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게 먼저라고 강조하지만, <br /> <br />정치적으로도 첨예한 논쟁거리인 만큼 4월 총선을 앞두고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 논란이 더 커질 가능성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태인 (ytaei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31213015888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