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두산이 중국의 유네스코(UNESCO) 세계지질공원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13~27일 진행되는 제219차 유네스코 집행 이사회에서는 18개의 신규 세계지질공원을 인증하는 안건이 논의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인증을 앞둔 후보지에는 중국 창바이산(長白山)이 포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창바이산은 중국에서 백두산을 지칭하는 이름입니다. <br /> <br />18개 신규 세계지질공원 후보지들은 작년 9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이사회에서 ‘등재 권고’ 결정이 내려진 곳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지질공원 이사회에서 등재가 권고되고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집행이사회에서 그대로 인증되는 것이 관례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2020년 자신들 영토에 속하는 백두산 지역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해 달라고 유네스코에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백두산은 4분의 1이 북한, 4분의 3이 중국 땅에 해당하는데 천지는 약 55%가 북한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설명자료에는 창바이산이 “지질학적으로 북중국강과 북동쪽 경계와 유라시아 대륙, 환태평양조산대가 만나는 지역에 위치해 강력한 화산활동으로 수백만 년간 독특한 지역이 형성된 곳”이라고 소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“창바이산에는 1천 년 전 ‘밀레니엄 분화’를 비롯해 다단계 분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암종과 복잡한 화산지형이 형성돼 시간에 따른 지구의 역동적인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연 실험실과 같다”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도 2019년 백두산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해달라고 신청했으나 이번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인증될 후보지에는 오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지질공원은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지정됩니다. <br /> <br />총 48개국에 195곳의 세계지질공원이 있으며 한국과 중국에는 각각 5곳과 41곳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학계에서는 중국의 창바이산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이 남북한이 모두 중시하는 백두산을 ‘중국만의 것’으로 만들려는 ‘백두산의 중국화’ 시도 중 하나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문상명 한중연구소 연구위원은 2022년 학술지 ‘동북아 역사 논총’에 발표한 ‘중국의 백두산 공정과 대응’ 논문에서 중국의 이런 움직임을 두고 “남북한에서 모두 중시하는 백두산의 역사와 가치를 독점하려는 시도로 보일 수 있다”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자ㅣ곽현수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 선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YTN 곽현수 (abroad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31412012075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