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대 증원에 반발해 수업 거부에 나섰던 의대생들에 대한 유급 통보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식으로 휴학을 신청한 경우도 6천 명을 넘겼는데요. <br><br>전체 의대생의 30%가 훌쩍 넘습니다. <br> <br>강태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말 부터 수업을 거부 중인 한림대 의대생 가운데 본과 1학년 83명이 최근 유급 통보를 받았습니다.<br><br>지난 1월 개강한 해부학 수업에 3주 넘게 결석해 수업일 수 3분의 1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한림대 측은 학사 일정 연기나 온라인 수업 등을 통해 유급을 최대한 막겠다는 입장입니다.<br> <br>다른 의대 학생들에 유급도 이달 말부터 본격화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움직임도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학장과 학부모 동의까지 얻은 유효 휴학 신청이 6천 51건에 달해 전국 의대 재학생의 3분 1이 이번 학기 수업을 포기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이주호/ 교육부장관] <br>"학생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휴학은 허가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당부드립니다. 학생들의 조속한 복귀를 독려해주시길 바랍니다." <br> <br>의대 증원을 놓고 정부와 의사들의 대립은 더 첨예해 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국 33개 의대 교수협의회가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심판이 오늘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법원의 1차 판단이 이르면 이달 말쯤 나올 예정입니다. <br> <br>또 대한전공의협의회는 국제노동기구(ILO)에 긴급 개입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비자발적으로 제공한 모든 형태의 강제 또는 의무 노동을 금지하는 협약을 위반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에 대해 정부는 국민의 생존이나 안녕을 위태롭게 하는 경우엔 협약 적용이 제외된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조세권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