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이트데이를 맞아 초콜릿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. <br /> <br />초콜릿 원료인 카카오 가격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 변화 여파로 카카오 원산지마다 흉작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인데 뚜렷한 대안이 없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와 가나는 전 세계 카카오 생산의 70%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폭우 등의 기상 이변과 병충해가 이어지면서 카카오 농사가 잇따라 흉작을 빚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엘로이 그나코메네 / 카카오 농부 : 빨리 농약을 뿌리지 않아서 병이 밭을 점령하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습니다. 카카오가 검게 변하면 꼬투리의 무게가 줄어들고 수확하기도 전에 꼬투리가 썩어버립니다. 그렇기 때문에 밭에 빨리 살포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카카오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는데, 중국과 인도 등을 중심으로 수요는 늘면서 가격은 연일 폭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코코아 선물 거래 가격은 1년 전보다 세 배 가까운 1톤에 6천 달러 선까지 훌쩍 뛰어오르며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카카오 나무의 특성상 당장 공급을 늘리기는 쉽지 않은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[윤병삼 /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: 성목이 돼서 많은 열매가 달리는 그런 기간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요량 증가에 맞춰서 공급량 증가가 바로 이어지기가 어려운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는 걸로….] <br /> <br />초콜릿 제품을 만드는 식품업계에선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천정부지로 치솟은 원룟값을 감당하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식품업계 관계자들은 원료 가격 인상 부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중남미 등 대체 수입처를 알아보고 있지만, 제품가격 인상 없이는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말 정부는 코코아 생두에 할당 관세를 적용해 수입 가격을 일부 낮췄지만, 기간이 한 달여에 불과해 효과는 미미했습니다. <br /> <br />빨라지는 기후 변화로 카카오 품귀 현상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값싼 초콜릿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 오훤슬기 <br /> <br />그래픽: 이원희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142323168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