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 대선이 우리 시각으로 모레 새벽까지 이어지지만, 푸틴 대통령의 당선은 확실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북·러 간 밀착이 강화되면서 푸틴 대통령이 대선 이후 이르면 올해 상반기 북·러 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북·러 정상회담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초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해 9월) : 푸틴 대통령은 초청을 쾌히 수락하면서 로·조 친선 역사와 전통을 변함없이 이어갈 의지를 다시금 표명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후 10월 중순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정상회담 후속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고, <br /> <br />이어 최선희 외무상이 지난 1월 러시아를 공식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 외교수장의 상호 방문에서 푸틴 대통령의 답방 시기도 조율된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로서는 대선 국면에 일정을 잡기는 부담스러웠지만, 푸틴의 재선이 확실시되면서 대선 이후 이르면 올해 상반기 방북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[김재천 /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: (북러 공조가) 미국과 미국의 추종국가들에 대항하기 위함이라는 큰 메시지가 나올 것 같고요. 서로를 필요로 하는 사이기 때문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포탄이나 탄약을 지속적으로 지원받는 것이 필요하고 북한은 구비하지 못한 군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은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으려 하고 있고, 푸틴 대통령도 사실상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는 언급을 하면서 양측 간 군사협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부인하고 있지만, 무기 지원 대가로 북한에 대한 식량과 에너지 공급 확대, 북·러 접경 지역 현대화 사업 활성화 등이 이뤄질 개연성도 큽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 김지연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31605140860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