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기업과 지자체들이 억대 출산 장려금을 주는 등 파격적인 출산 지원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단순한 현금 지원책보다는 일과 양육을 병행할 수 있는 기업 문화와 제도적 뒷받침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직원이 70여 명인 강릉 정동진의 한 호텔 리조트입니다. <br /> <br />호텔 측은 올해부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아이 한 명에 출산 지원금 5천만 원씩, 최대 1억 원을 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2년 내 자녀를 낳은 직원 2명이 5천만 원씩 첫 혜택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최용 / 강릉 썬크루즈 호텔 리조트 직원 : 너무 놀랐죠. 너무 놀랐고 이런 제도가 말로만 들었지, 저희가 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고….] <br /> <br />앞서 부영그룹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아이 1명당 1억 원을, 쌍방울그룹은 셋째 아이까지 낳으면 최대 1억 원까지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구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한 지자체도 앞다퉈 현금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충북 영동군은 결혼부터 출산, 양육까지 1명당 최대 1억 2천여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고, 경남 거창군은 출산 양육 관련 지원금을 1억천만 원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단순한 현금성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는 의견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육아 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경력 단절을 방지하는 등 일과 양육의 양립을 위한 기업 문화를 개선하는 게 더 시급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정석 / 한국인구학회장(동국대 사회학과 교수) : 국가 위기다, 너희들 낳을 수 있지 않냐, 우리가 돈 줄 게, 뭐 해 줄 게, 이런 얘기란 말이죠. 근데 젊은 분들은 굉장히 다양한 위치에 있어요. 너무 일괄적이고 획일적인 접근이 아닌가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국공립 보육 시설을 확충하고 아이 돌봄 서비스와 청년 가구 대상 주거 지원을 확대하는 대책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김동철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31605313170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